운전면허 갱신, 한 번 놓치면 벌금 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솔직히 말해서, 운전면허 갱신 기한이 언제까지인지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저도 몇 년 전에 깜빡하고 있다가 갱신 마감일이 다 돼서 부랴부랴 처리했던 기억이 있어요.
이거 한 번 놓치면 벌금 내야 하고, 심하면 면허가 취소될 수도 있다고 하니 미리 챙겨야 하는 건 필수입니다.

운전면허 갱신, 언제 해야 할까요?
면허 종류와 발급 시기에 따라 갱신 주기가 다릅니다.
- 1종 보통 & 대형 면허: 10년마다 갱신 (65세 이상은 5년)
- 2종 보통 & 원동기 면허: 10년마다 갱신
- 2011년 12월 9일 이후 발급: 면허증에 기재된 갱신 기한 확인
- 2011년 12월 8일 이전 발급: 마지막 갱신일부터 10년 이내 갱신
📌 내 운전면허 갱신 기간 확인하는 법
→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후 조회 가능
그런데 문제는 갱신 기한을 놓치면 벌금이 나온다는 것!
1년만 지나도 과태료가 부과되며, 2년이 넘으면 면허가 완전히 취소된다고 합니다.
- 1년 이내 미갱신: 과태료 2만 5천 원
- 1년 초과~2년 미만: 과태료 3만 원
- 2년 초과 시: 면허 취소 (재시험 필수)
생각보다 벌금이 적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문제는 면허가 취소되면 처음부터 다시 시험을 봐야 한다는 거!
필기부터 기능, 도로주행까지 처음부터 다시 봐야 하니까, 과태료 몇 만 원보다 훨씬 귀찮아집니다.
운전면허 갱신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요즘은 온라인 갱신이 가능해서 한 번도 안 가본 사람도 있을 텐데, 방법은 간단합니다.
✔ 온라인 갱신 방법 (비대면 신청)
-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접속
→ https://www.safedriving.or.kr/main.do - ‘적성검사(갱신) 신청’ 선택 후 본인 인증
- 갱신 수수료 결제 (7,500원)
- 새로운 면허증 수령 (우편배송 가능)
✔ 방문 갱신 방법 (경찰서 or 운전면허시험장)
- 신분증 & 기존 운전면허증 준비
-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방문 전 예약 필수!)
- 적성검사 (1종 면허 필수)
- 갱신 수수료 납부 (7,500원) 후 면허증 발급
예약 후 방문하면 대기 시간 없이 빠르게 갱신 가능!
혹시라도 개인적인 사정으로 운전면허 갱신을 제때 못했다면 갱신 기간 연장 신청이 가능해요.
병원 입원이나 해외 체류 등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운전면허 갱신 연장 신청 방법
- 갱신 기간 만료 전에 운전면허시험장 or 경찰서 방문
- 갱신 연기 사유서 제출 (증빙 필요)
- 연장 승인 후, 추가 기간 내 갱신 진행 가능
🚨 갱신 연장은 만료 전에만 신청 가능!
만료 후에는 연장 신청이 불가능하니 미리 준비하세요.
방문 신청을 한다면 여권용 사진 1매가 필요하고,
온라인 신청할 경우 기존 면허시험장에 등록된 사진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어요.
사진 준비가 귀찮다면 온라인 신청이 더 편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65세 이상 운전자는 갱신 주기가 5년으로 줄어드는데,
이유는 운전 적성검사가 의무화되었기 때문이에요.
고령 운전자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라고 합니다.
혹시 갱신 기간을 모르겠다면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후 바로 확인 가능해요.
미리 체크해 두면 불필요한 과태료를 피할 수 있겠죠!
지금 바로 내 운전면허 갱신 기간 확인하고, 놓치지 않도록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한국도로교통공단 유튜브 참고
> 갱신 방법에 대해 유튜브 올려둔 것도 첨부해두어요~!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데이자동차보험 안 들면 큰일 납니다! 렌터카, 친구 차 운전 전 필수 (0) | 2025.04.02 |
---|---|
전세사기 막는 법! 보증금 지키는 전세보증보험 필수 가입 가이드 (0) | 2025.02.25 |
요즘 핫한 다이어트 간헐적 단식 : 종류와 방법, 효과 (0) | 2025.01.28 |
여행이나 명절 때 고양이 혼자 집에 둬도 될까? 호텔 펫시터 비교 (0) | 2025.01.26 |
2025년 국가건강검진, 우울증 정신건강검사 신규 추가! (0) | 2025.01.22 |